AI Engine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AI Engine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8)
    • AWS CLOUD SCHOOL 9기 (45)

검색 레이어

AI Engine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Docker 환경 구축 - PHP 7.2, Apache2, MySQL 5.7, XpressEngine (XE)

    2025.03.27 by AI Engineer crystal

  • 25.03.27. Docker를 이용한 이미지 빌드 및 컨테이너 실행 과정

    2025.03.27 by AI Engineer crystal

  • 25.03.26. Docker, Containerd, Docker Compose의 이해와 사용법

    2025.03.26 by AI Engineer crystal

  • 25.03.25. AWS IAM 개념 및 권한 관리 구조 설명

    2025.03.25 by AI Engineer crystal

  • 25.03.24. Ansible로 자동화 작업 효율화: Action과 IaC의 활용법

    2025.03.24 by AI Engineer crystal

  • 25.03.21. Ansible

    2025.03.21 by AI Engineer crystal

  • 25.03.20. KVM 가상화 관리 및 이미지 커스터마이징: 가상 머신 인스턴스 관리부터 커스터마이즈까지

    2025.03.20 by AI Engineer crystal

  • 25.03.19. KVM을 활용한 가상화 환경 구축 및 NFS 서버 설정 실습

    2025.03.19 by AI Engineer crystal

Docker 환경 구축 - PHP 7.2, Apache2, MySQL 5.7, XpressEngine (XE)

https://github.com/crystal397/docker_study/blob/master/README.md docker_study/README.md at master · crystal397/docker_studyContribute to crystal397/docker_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깃허브에 다음의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Docker를 사용하여 PHP 7.2, Apache2, MySQL 5.7을 기반으로 한 XpressEngine (XE)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래 단계별로 Dockerfile 작성과 컨테이너 실행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27. 17:38

25.03.27. Docker를 이용한 이미지 빌드 및 컨테이너 실행 과정

이유HTTP 연결 허용: 기본적으로 Docker는 HTTPS를 통해서만 통신을 하며, HTTP 연결은 보안상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거부됩니다. insecure-registries는 특정 레지스트리 주소에 대해 HTTP 연결을 허용하도록 Docker에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비공식 레지스트리 사용: 사내 개발 환경 등에서는 보안을 위해 외부와 차단된 Docker 레지스트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 HTTPS를 사용하지 않고 HTTP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insecure-registries 설정이 필요합니다.자체 서명 인증서: 만약 레지스트리가 자체 서명된 SSL 인증서를 사용하는 경우, Docker는 이를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을 거부합니다. 이때 insecure-registries ..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27. 14:20

25.03.26. Docker, Containerd, Docker Compose의 이해와 사용법

user1@manager:~/ansiblerole$ tree.├── install_web.yml├── roles│ └── web│ ├── defaults│ ├── files│ ├── handlers│ │ └── main.yml│ ├── meta│ ├── **tasks**│ │ ├── amazon.yml│ │ ├── config.yml│ │ ├── **main.yml**│ │ └── ubuntu.yml│ ├── templates│ │ └── index.j2│ └── vars│ └── main.yml└── web.lst9 dir..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26. 11:55

25.03.25. AWS IAM 개념 및 권한 관리 구조 설명

AWS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정의AWS 서비스와 리소스에 대한 접근 제어를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IAM을 사용하면 사용자, 그룹, 역할 등을 정의하고, 이들에 대해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주요 구성 요소사용자 (User)AWS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개별 계정입니다.로그인 자격증명:비밀번호 (관리 콘솔 로그인용)액세스 키 ID, 비밀 액세스 키 (프로그램적 접근용)그룹 (Group)동일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의 집합입니다.그룹에 정책을 연결하여 해당 그룹의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정책 (Policy)AWS에서의 권한을 정의하는 JSON 문서입니다.특정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허용/거부 규칙을 정의합니다.주요 요소..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25. 09:21

25.03.24. Ansible로 자동화 작업 효율화: Action과 IaC의 활용법

IaC1. Infra Provision = DeploymentInfra Provision은 인프라를 준비하는 과정이고, Deployment는 실제로 준비된 인프라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입니다. 두 개념은 비슷하지만, Provision은 리소스를 설정하는 단계이고, Deployment는 설정된 리소스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단계입니다.2. File → Provider (Hypervisor): 수정한 내용만 반영IaC에서는 코드로 인프라를 정의하는데, 이때 파일을 작성하고 해당 파일을 **Provider (예: AWS, Azure 등)**에 전달하여 인프라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하이퍼바이저나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배포합니다.중요한 점은 수정한 내용만 반영된다는 점입니다. 즉, 이전..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24. 09:31

25.03.21. Ansible

Ansible앤서블 본체:앤서블 소프트웨어 자체를 의미합니다. 앤서블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가 아닌, 별도의 데몬 프로세스(side car)를 두지 않고 필요한 작업을 실행할 때마다 실행됩니다.인벤토리:인벤토리는 서버 접속 정보를 정의하는 파일입니다. 여러 서버를 그룹화하거나 개별 서버에 대해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인벤토리를 통해 앤서블이 관리할 대상 서버 목록과 각 서버에 대한 정보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모듈:앤서블에서 실행되는 하나하나의 명령을 모듈이라 합니다. 모듈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OS 작업: 패키지 설치, 서비스 관리, 사용자 관리 등파일 작업: 파일 복사, 편집, 템플릿 처리데이터베이스 작업: MySQL, PostgreSQL 사용자 및 테이블 관..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21. 13:34

25.03.20. KVM 가상화 관리 및 이미지 커스터마이징: 가상 머신 인스턴스 관리부터 커스터마이즈까지

생성되어 있는 인스턴스에 대한 관리와 관련된 명령어1. 인스턴스 목록 확인virsh list --all 명령어로 실행 중이거나 중지된 모든 가상 머신(인스턴스) 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virsh list --all2. 인스턴스 시작virsh start vm 명령어로 중지된 가상 머신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vm은 실제 인스턴스의 이름으로 교체되어야 합니다.virsh start vm3. 인스턴스 종료virsh destroy vm 명령어로 실행 중인 가상 머신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인스턴스를 강제 종료시키며, 종료 시 데이터를 잃을 수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virsh destroy vm4. 인스턴스 재부팅virsh reboot vm 명령어로 가상 머신을 재부팅할 수 있습..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20. 10:17

25.03.19. KVM을 활용한 가상화 환경 구축 및 NFS 서버 설정 실습

하이퍼바이저 유형Type 1 (Bare Metal): 하이퍼바이저가 물리적 서버 위에서 직접 실행되고, 운영체제(OS)와 가상 머신을 관리합니다.하이퍼바이저는 물리적 리소스를 추상화하고, 가상 머신마다 격리된 환경을 제공합니다.Type 1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OS가 없는 상태에서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되므로, 가상화 성능이 뛰어나고,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제어합니다.하이퍼바이저가 커널 역할을 하며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가상 머신들이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예: VMware ESXi, Microsoft Hyper-V, KVM(opensource, gcp 기본 hypervisor)Type 2 (Host-based): 하이퍼바이저가 호스트 OS 위에서 실행되어 가상화를 제공..

AWS CLOUD SCHOOL 9기 2025. 3. 19. 09:3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TISTORY
AI Engineer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