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Engine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AI Engine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8)
    • AWS CLOUD SCHOOL 9기 (45)

검색 레이어

AI Engine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NFS + DNS 구성으로 Kubernetes 인프라 안정화하기

    2025.04.18 by AI Engineer crystal

  • 마스터 노드의 kubeconfig 파일을 현재 node2로 복사해서 설정

    2025.04.18 by AI Engineer crystal

  • [토이 프로젝트] 실제 기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 아키텍처 학습

    2025.04.17 by AI Engineer crystal

  • ArgoCD 설치 및 초기 설정

    2025.04.16 by AI Engineer crystal

  • 동적 프로비전 (Dynamic Provisioning)

    2025.04.16 by AI Engineer crystal

  • Kubernetes NFS 기반 정적 프로비저닝 및 ResourceQuota 적용 실습 정리

    2025.04.16 by AI Engineer crystal

  • 🧭 NGINX Ingress Controller + Ingress Routing 실습 정리

    2025.04.15 by AI Engineer crystal

  • 📈 Kubernetes HPA 실습: Horizontal Pod Autoscaler

    2025.04.15 by AI Engineer crystal

NFS + DNS 구성으로 Kubernetes 인프라 안정화하기

Kubernetes에서 애플리케이션 배포의 안정성과 내부 통신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음 두 가지를 다룹니다.NFS를 활용한 Pod의 영속 데이터 저장 (동적 프로비저닝)DNS 서버를 이용한 내부 도메인 네임 매핑✅ 목표 요약🔒 NFSPod의 영속 데이터를 위한 동적 PV 프로비저닝🌐 DNSHarbor 도메인 hub.aws9.pri, Ingress용 www.aws9.pri 등 내부 도메인 매핑 구성📦 NFS로 동적 프로비저닝 하기Kubernetes에서 PersistentVolumeClaim(PVC)만 생성하면 자동으로 PersistentVolume(PV)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 다음 순서를 따라 진행합니다.1. NFS 서버 구축 (Rocky Linux 9)dnf -y inst..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8. 13:57

마스터 노드의 kubeconfig 파일을 현재 node2로 복사해서 설정

🔧 목적kubectl 명령어가 정상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마스터 노드의 kubeconfig 파일을 현재 node2로 복사해서 설정하려는 거예요.🧩 전제 상황 체크root@node2:~/crystal_blog# k get nsE0418 10:04:25.560185 1102768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p list: Get "http://localhost:8080/api?timeout=32s": dial tcp 127.0.0.1:8080: connect: connection refusedE0418 10:04:25.560683 1102768 memcache.go:265] couldn't get current server API grou..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8. 10:14

[토이 프로젝트] 실제 기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 아키텍처 학습

🧱 1단계: K8s 클러스터 아키텍처 설계✅ 목표 요약Master 3대 구성 → HA(High Availability) 클러스터 (.100)Node 3대 구성 (.101 ~ .103)NFS + DNS 1대 구성 (.99)Harbor 1대 구성 ← Docker + Compose (.98)etcd 백업 및 복원LB 구성 필요 (master API 접속 위한 단일 진입점)✅ 핵심 개념 설명▶️ 왜 Master는 3대 이상이어야 하나요?etcd는 quorum 기반의 분산 DB입니다.quorum이란, 클러스터 내에서 과반수 이상이 합의를 해야 쓰기 작업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Master 2대를 구성할 경우, 하나가 장애나면 남은 1대는 quorum을 만족하지 못하여 쓰기 작업이 중단됩니다.3대를 구성하면 1대..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7. 09:48

ArgoCD 설치 및 초기 설정

1. Namespace 생성 및 ArgoCD 설치kubectl create ns argocdkubectl apply -n argocd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argoproj/argo-cd/stable/manifests/install.yaml설치 후, 모든 Pod가 Running 상태인지 확인kubectl get pod -n argocd2. ArgoCD 서비스 확인 및 수정kubectl get svc -n argocdkubectl describe svc argocd-server -n argocd기본적으로 argocd-server 서비스는 ClusterIP로 설정되어 외부 접속이 불가능함LoadBalancer 타입으로 변경kubectl patch svc argocd..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6. 17:10

동적 프로비전 (Dynamic Provisioning)

운영자가 미리 PV(PersistentVolume)를 만들어두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가 PVC(PersistentVolumeClaim)를 작성하면 StorageClass에 정의된 Provisioner가 해당 PVC의 요청을 처리하여 동적으로 볼륨을 생성한다. 이 방식은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운영자의 개입 없이 개발자가 필요한 만큼의 볼륨을 자동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CSI (Container Storage Interface)Kubernetes에서는 다양한 CSI 드라이버를 통해 다양한 스토리지 백엔드(NFS, EBS, Ceph 등)와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는 NFS용 CSI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NFS CSI 드라이버 설치git clone http..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6. 16:22

Kubernetes NFS 기반 정적 프로비저닝 및 ResourceQuota 적용 실습 정리

✅ 핵심 개념 요약📁 정적 프로비저닝(Static Provisioning)관리자가 직접 PV를 생성해두고,개발자가 PVC로 요청하는 방식.NFS 서버를 통한 외부 저장소 사용이 대표적인 예.Pod는 PVC를 통해 간접적으로 PV를 마운트함.📦 NFS의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Retain: PVC와 Pod가 삭제되어도 데이터는 남아있음.Recycle: 기존 데이터 삭제 후 재사용.Delete: PVC가 삭제되면 PV도 자동 삭제됨 (동적 프로비저닝에서 자주 사용).💾 ResourceQuota + PVC 조합requests.storage: 전체 네임스페이스에서 요청 가능한 스토리지 총량.persistentvolumeclaims: PVC 개수 제한.🧠 Quiz 정답 요약Po..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6. 14:14

🧭 NGINX Ingress Controller + Ingress Routing 실습 정리

📌 목표Ingress Controller를 통해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LoadBalancer로 연결host 기반 + path 기반 라우팅 실습개별 Deployment-Service 구분, 확장성 고려1️⃣ Ingress Controller 설치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ingress-nginx/controller-v1.1.2/deploy/static/provider/cloud/deploy.yaml설치 후 다음 두 컴포넌트 확인:ingress-nginx-controller: 실제 트래픽을 적절한 서비스로 라우팅ingress-nginx-admission: Ingress 리소스 검증 (특히 annotations 검사)kube..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5. 17:47

📈 Kubernetes HPA 실습: Horizontal Pod Autoscaler

🔍 목표Kubernetes에서 HPA (Horizontal Pod Autoscaler) 를 이용해 CPU 사용량에 따라 Pod 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실시간 부하를 주기 위해 Apache Benchmark를 활용합니다.HPA의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고, KEDA와의 차이도 간단히 정리합니다.⚙️ 사전 준비: Metrics Server 설치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HPA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metric-serv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Step 1. 구성 파일 다운로드wget https://github.com/kubernetes-sigs/metrics-server/releases/latest/download/components.yaml🛠️ Step 2. 136번째 줄에 ..

AWS CLOUD SCHOOL 9기 2025. 4. 15. 14: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9
다음
TISTORY
AI Engineer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